▲  6·17 부동산대책으로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집중되면서 투자자들이 지방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형국이다. 사진은 특정기사와 무관함

기획부동산과 중개업자 결탁…갭투자 차익 노려

전문가들 “투기성 부동산 매입에 실수요자 피해 대책 필요” 

 

6·17 부동산대책으로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집중되면서 투자자들이 지방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형국이다. 그동안 시장에서 주목을 받지 못한 지방중소도시에서는  이번 부동산 규제 이후 외지인 매매 거래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최근 늘어나고 있는 지방 중소도시의 거래의 경우 매매가와 전세가의 사이의 격차, 이른바 ‘갭’이 적게는 수백만 원에 불과한 가운데 정부의 강력해지는 부동산 규제 속에서도 넘치는 유동성은 또다른 투자처를 향해 흘러가고 있는 셈이어서 실수요자들의 피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실제 김해 외동 한국1차 전용 40㎡의 최근 매매 거래는 대부분이 갭투자용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5월 거래된 2층 매물은 8300만 원에 팔렸으며, 당시 7500만 원의 전세 계약도 함께 이뤄졌다. 매수자의 실제 투자비용은 800만 원이 든 셈이다.

 

 6월 들어서면서 외지 투자자들의 보폭이 창원 성산구 의창구, 진주 평거동, 거제와 사천 일부 지역까지 쏠리면서 매매가와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다. 진주 평거동의 경우 모 아파트는 기획부동산과 현지 부동산 업자들이 결탁해 1동당 평균 2천~3천만 원을 올리고 있다. 이들 결탁 업자들은 아파트를 매입한후 갭투자 방식인 전세를 놓고 차익금을 챙기고 있어 실수요자들은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2천~3천만 원 인상된 금액으로 매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해 한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는 “가격이 싼 매물은 서울 등에서 온 외지인들과 기획부동산 등이 휩쓸어 거의 소진됐고 지금은 값이 서서히 뛰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국 아파트 거래는 24만5776건으로 전달(22만4823건)보다 9.3% 증가했다. 이 중 서울 거주자의 원정투자가 많이 늘었다.

 

서울 거주자의 타지역 아파트 매입 건수는 2만1423건으로 전달(1만8944건) 대비 13% 증가했다. 서울 거주자를 포함해 관할 시도 외 거주자의 아파트 매입 건수는 6만7260건에서 7만8563건으로 16.8% 뛰었다. 비중으로도 전체의 31.9%로 4월(29.7%)보다 커졌다. 투자자들이 계속된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를 매수하기 어려워지자 지방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이다. 

 

갈 곳 잃은 시중의 뭉칫돈이 전국구 기획부동산 원정투자에 몰리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으로 “진주시와 국세청은 투기성 부동산 매입으로 실수요자들이 피해가 가지 않도록 현지 조사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